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테마는 바로 ESG 기업입니다.
ESG의 의미와, 한국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SG란?
ESG는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기업 지배구조)의
앞 이니셜로, 이 세 가지를 중요시하는 기업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이며,
재무적 요소 이외에 회사에 투자하는 데에 필요한
비재무적 요소라고 볼수 있습니다.
ESG관련 국내시장 동향
ESG 투자의 트렌드로 국내 ESG 펀드설정액이
1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대비
270% 넘게 증가한 대기록입니다.
이 성장세는 ESG펀드를 주로 구성한
ETF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올해 2월 상장한 4개의
'탄소효율그린뉴딜 ETF'가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저탄소 경영을 선언하고
환경을 고려하는 기업에 가중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정책적, 법적으로 ESG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향후 ESG관련 투자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업들은 ESG경영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고,
투자자들도 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코스피 전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관련
공시를 의무화할 예정입니다.
국민연금은 ESG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2022년까지
운용기금의 50%를 ESG에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거래소는 7종의 ESG 관련 지수를 산출 발표하였고,
ESG 자문위원회 구성 등의 ESG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