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이슈/경제 이슈42

카카오뱅크, 상장 첫날 '따상'은 실패했지만, 금융대장주로 등극! (카카오뱅크가 고평가 논란? 앞으로의 주가 어떻게 될까?) 58조원이 넘는 청약증거금을 끌어모았던 카카오뱅크가 8월 6일 오전 9시 드디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이 과도하다는 고평가 논란 속에서도 하반기 초대형 공모주로 관심을 끌며 수십조의 증거금을 동원한 만큼 코스피 입성 후 따상(공모가 2배 상장 후, 상한가)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았습니다. 시초가는 공모가(3만9000원)보다 37.7% 높은 5만3700원으로 결정되면서 따상에는 실패했고, 오전 9시13분 카카오뱅크는 시초가 대비 1만4300원(26.63%) 오른 6만8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따상에는 실패했지만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은 현재 약 32조원으로, 기존 금융지주사 중 1위였던 KB금융을 넘어 새 금융 대장주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또한 .. 2021. 8. 6.
카카오택시 '스마트호출', 남보다 빨리 타려면 웃돈 최대 5000원까지. 택시 업계 "스마트호출은 카카오만 배불리기"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택시를 부를 때 배차 확률을 높여주는 스마트호출 요금을 최대 5000원까지 올리자 택시업계의 반발이 매우 큽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달 2일부터 스마트호출 요금제를 기존 1000원(야간 2000원)정액제에서 최소 0원~최대 5000원의 탄력요금제로 변경했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호출이란? 지난 2018년 카카오모빌리티는 인근의 빈 택시를 바로 잡아주는 기능인 즉시 배차를 도입하고 최대 5000원의 요금을 받으려다 정부·택시업계 반발로 철회했었습니다. 수익을 포기할 수 없던 카카오모빌리티는 궁여지책으로 스마트호출을 내놨습니다. 스마트호출은 즉시 배차와는 달리 1000원을 추가로 내면 인공지능 기술로 예상 거리와 시간, 과거 운행패턴, 실시간 교통상황 등을 종합해 호출을 받아줄 만한 기사.. 2021. 8. 5.
MZ세대가 이끌어가는 세 번째 산업, 중고 시장 산업 (당근마켓, 중고나라, 번개장터), '세컨슈머'로서의 MZ세대의 특징 MZ세대의 특징 https://wndcks1422.tistory.com/77 MZ세대의 특징과 행태를 알아야 미래 산업을 선도한다. MZ세대가 변화시키고 있는 첫번째 산업, MZ세대와 MZ세대의 특징 MZ세대는 1980~1995년 사이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6~2000년 사이 출생한 Z세대의 합성어입니다. 이들은 국내 인구의 약 34%를 차지합니다. 1. MZ세대는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 wndcks1422.tistory.com MZ세대의 특징을 꼭 읽고 와 주세요! MZ세대는 모바일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SNS를 기반으로 유통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소비 주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유보다는 공유를 추구하는 행태로, 중고 시장 산업의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물가가 비싸지.. 2021. 8. 4.
대세는 '구독' 시스템, 구독 경제의 전망은? (카카오, 네이버) 구독 경제란? 신문이나 잡지를 구독하는 것처럼 일정 기간 구독료를 지불하고 상품,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는 경제활동을 말합니다. 지정된 날짜에 주기적으로 해당 상품을 배달해주기 때문에 필요한 제품을 매번 사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 전문 지식을 갖춘 구매 담당자가 소비자 대신 우수한 제품을 선정하여 전해 주기 때문에, 소비자는 상품을 고르기 위해 쓰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됩니다. 화장품에서 시작해서 생활용품, 식품, 의류 등으로 서비스 품목이 다양해지고 있고, 최근에는 차량 구독 서비스도 생겨서, 원하는 차량을 바꿔가면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까지 생겨났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구독 서비스 경쟁 (카카오, 네이버) 안정적인 미래 사업으로 꼽히는 구독경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습.. 2021. 8.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