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의 리빙레전드 워런 버핏은
"10년이상 보유하지 않으려면, 단 10분도 보유하지 마라"
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워런 버핏뿐만 아니라 국내외 투자계의 거물들은 하나같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식투자를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투자 거물들이 장기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와,
장기적인 관점에서 좋은 종목이라 추천하는 것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장기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주식회전율高 2030세대 vs 60대 장투족)
코로나19로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자 남녀노소
주식 시장에 자금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시장은 빠져나가는 외인들의 빈자리를
개인투자자들이 채워나가며 동학개미운동을 펼쳤고,
언론, 유튜브, SNS 곳곳에서 주식투자로 큰돈을 벌어들인
개인 투자자들의 성공기를 흔하게 접할 수 있게 됐습니다.
너도나도 주식투자에 나선 가운데, 흥미로운 점은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둔 집단의 특징입니다.
그들의 전략은 단 하나, 바로 장기투자(장투)
라는 점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100만원 이상을 투자한 주식투자자들의
'매매 빈도와 수익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는데,
장타족은 단타족보다 2.7배에 달하는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연령별로 살펴보자면 그 격차는 더욱 두드러집니다.
2030 세대일수록 주식 매매 빈도는 더 잦았고,
회전율이 무려 300%에 달하는 청년 투자자들의
1년 수익률은 6.9%에 그쳤습니다.
반면에 같은 기간 삼성전자·카카오 등 우량주를 담고
한 번도 매도하지 않은 60대의 경우 54%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장투가 답’이라는 말이 수치로도 증명된 것입니다.
오래전부터 장투를 강조해온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는
"매달 월급의 일부로 주식을 사고, 건들지 마라"라고 말합니다.
그는 주식은 파는 것이라고 접근하는
그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존 리 대표는 "많은 투자자가 어제 10만원에 산 주식이
오늘 7만원이 됐다고 실망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
100만원이 돼 있을 텐데 왜 실망하는지 모르겠다"
"내가 산 주식이 반토막이 났다 하더라도 어차피 갖고 있을
주식이라면, 세일한다는 마음가짐으로 또 그 주식을 사라"
라고 말하며 투자자들의 일희일비를 주의했습니다.
즉 회사의 가치를 현재 주가보다 높다고 판단하여 주식을 샀으니,
팔지 말고 갖고 있으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투자 거물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좋은 종목이라 추천하는 종목
그렇다면 존 리 대표가 추천하는 종목은 무엇일까?
그는 '확장성이 좋은 기업'을 구매하라며,
카카오와 네이버를 추천했습니다.
위의 회사는 인터넷 기반으로 사업을 크게
확장하고 있으며, 매우 높은 진입장벽으로
또 다른 경쟁자가 나오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 역시
카카오를 장기투자 종목으로 추천했습니다.
그는 "장기적 관점으로 봤을 땐 플랫폼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장 가능성, 변동성 예측 등
여러 것들을 고려했을 때 카카오만한 기업이 있을까 싶다"
라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현재 카카오의 주가수익비율(PER)이 높지만
여전히 저평가되어있어, 장투종목으로 손색없다"
"카카오처럼 고객이 계속 머무는 기업은
다양한 사업을 벌일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이익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라고 말했습니다.
반면에 그는 반도체 종목을 장투종목으로 비추했습니다.
현재로선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이 뛰어나다고 보지만
그 이익이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고 보지 않고,
기업 간 경쟁이 심화돼 좋지 못한 상황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바로 이럴 때 '대장장이 기업'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강방천 회장은 조언합니다.
강방천 회장은 "두 전사가 전쟁을 벌일 때
뒤에서 조용히 무기를 만들어 손에 쥐여주는
대장장이 기업에 투자하라"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대장장의 기업의 예시로 삼성전자보다, 다양한 반도체를
위탁받아 생산하는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TSMC(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를 유망기업으로 꼽았습니다.
"엉덩이가 무거워야 투자에 성공한다"라는 말로 유명한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부장 역시
장기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2차 전지를 장기투자에 좋은 종목으로 꼽았습니다.
그는 "현재 2차 전지 시장은 삼성SDI · LG화학 · SK이노베이션 ·
CATL(중국) · 파나소닉 5파전을 치르고 있는데,
CATL은 정부 보조금으로 흑자를 이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평가절하할 측면이 있다"
"오로지 자기 경쟁력만으로 승부 보는 기업이
어딘가 찾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슈 >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세대가 이끌어가는 세 번째 산업, 중고 시장 산업 (당근마켓, 중고나라, 번개장터), '세컨슈머'로서의 MZ세대의 특징 (0) | 2021.08.04 |
---|---|
대세는 '구독' 시스템, 구독 경제의 전망은? (카카오, 네이버) (0) | 2021.08.03 |
중국을 선도하는 바이오산업, 글로벌 자본이 중국 바이오테크를 주목하는 이유는? (0) | 2021.08.01 |
존 리가 말한 '지금 투자하면 좋은 테마들'과 투자자들의 올바른 마음가짐, "편견을 깨야 한다"(존리가 꼽은 주식 시장의 8가지 바보 유형) (0) | 2021.08.01 |
워렌 버핏의 투자 성공 비결 5가지, "나처럼 부자 되려면 따라해" (0) | 2021.07.31 |